우리 시대의 참 지식인, 한완상 박사의 교회 힐링 메시지!
한국 교회가 회복해야 할 역사적 예수의 체취와 숨결, 그리고 그분의 꿈
베스트셀러 《민중과 지식인》에 이은 한완상 박사의 또 하나의 역작! 교회의 승리주의적 태도, 물량주의, 배타적 독선에 울리는 경종, 그리고 겸허한 자기반성과 세상 속의 기독교가 지향해야 할 좌표를 제시한 책!
종교적 선민의식과 종파주의를 초월했던 예수, 그에게서 한국 교회가 배워야 할 평화적 저항, 익살스러움, 날카로움, 통쾌함, 당혹스러움, 탄성을 발하게 하는 해학적 감동, 신앙의 역설을 애정 어린 질책과 함께 절제된 언어로 풀어냈다. 이를 통해 양적 팽창 속에서 지속되어온 반지성적 풍토와 기복적 신앙, 경직되고 불투명한 교회운영과 권위주의적 교회 구조, 예수의 삶이 증발되어버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천박한 이기주의를 치료할 해법을 제시한다. 밖으로 굽으시는 하나님의 팔, 우아한 패배의 원리, 실패와 자기 부인의 십자가 정신, 자기 비움과 남 채움의 원리 등 끊임없이 자기 속에서 충동하는 탐욕과 독선의 힘을 비워내기 위해 그리스도인들이 체득해야 할 삶의 방식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인간적인 체취가 묻어나는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해석을 통해 한국 교회의 일그러진 교회상을 초대교회의 모습으로 회복시켜줄 힐링 메시지!
프롤로그_한국 교회여, 우아하고 멋지게 지는 법을 체득하라
참회하는 마음으로 쓴 수난절 편지
I. 팔이 밖으로 굽으시는 하나님
01_내 삶에 오신 예수님
02_팔이 밖으로 굽으시는 하나님
03_평화의 도시에 평화는 없었다
04_개마고원에서의 꿈
II. 아, 기독교인임이 부끄럽구나
05_사회를 치유하는 소셜 닥터Social Doctor
06_유배지 같은 현대사회에서
07_종교는 비우고 사랑은 채우고
08_아, 기독교인임이 부끄럽구나
III. 예수 없는 예수 교회
09_왜 한국 교회는 버림받고 있나
10_예수 없는 예수 교회의 신앙고백
11_예수 이름으로 예수를 괴롭히는 교회
12_무덤은 버리고 역사는 채우고
13_껍데기 신앙은 가라
IV. 신앙, 그 감동의 역설
14_사랑은 지면서 이기는 힘
15_스스로 지우신 하나님
16_누가 하나님나라의 주인인가
17_해학과 저항의 예수
V. 우아한 패배, 참 평화의 길
18_우아한 패배, 참 평화의 길
19_멋지게 지신 예수님
20_사랑은 동사요, 하나님도 동사다
21_십자가, 그 멋진 패배의 미학
에필로그_기억과 회상의 힘
우리 시대의 참 지식인, 한완상 박사의 교회 힐링 메시지!
한국 교회가 회복해야 할 역사적 예수의 체취와 숨결, 그리고 그분의 꿈
베스트셀러 <민중과 지식인>에 이은 한완상 박사의 또 하나의 역작! 교회의 승리주의적 태도, 물량주의, 배타적 독선에 울리는 경종, 그리고 겸허한 자기반성과 세상 속의 기독교가 지향해야 할 좌표를 제시한 책!
종교적 선민의식과 종파주의를 초월했던 예수, 그에게서 한국 교회가 배워야 할 평화적 저항, 익살스러움, 날카로움, 통쾌함, 당혹스러움, 탄성을 발하게 하는 해학적 감동, 신앙의 역설을 애정 어린 질책과 함께 절제된 언어로 풀어냈다. 이를 통해 양적 팽창 속에서 지속되어온 반지성적 풍토와 기복적 신앙, 경직되고 불투명한 교회운영과 권위주의적 교회 구조, 예수의 삶이 증발되어버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천박한 이기주의를 치료할 해법을 제시한다. 밖으로 굽으시는 하나님의 팔, 우아한 패배의 원리, 실패와 자기 부인의 십자가 정신, 자기 비움과 남 채움의 원리 등 끊임없이 자기 속에서 충동하는 탐욕과 독선의 힘을 비워내기 위해 그리스도인들이 체득해야 할 삶의 방식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인간적인 체취가 묻어나는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해석을 통해 한국 교회의 일그러진 교회상을 초대교회의 모습으로 회복시켜줄 힐링 메시지!
“예수 없는 껍데기 교회로 성장할수록
예수님의 질책과 세상의 모멸적 비난은 더 매서워질 것입니다.”
세계에서 제일 큰 교회가 대부분 한국에 있을 정도로 급성장한 한국 교회가 정작 우리나라에서 불신과 모멸과 비판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은 단지 교인수의 감소에서 찾는 위기가 아니라 보다 본질적인 면에서의 위기이다. 그것은 세계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우리의 ‘믿사오니’ 열정과, 예수의 삶을 올곧게 닮아가는 ‘따르오니’의 삶 사이의 간격, 그 멀어진 간격으로 말미암는다. 한완상 박사는 사회학자로서의 노련한 안목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 시대 교회가 앓고 있는 중병의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치료할 해법을 모색한다. <민중과 지식인>이 한국 사회에 던진 화두를 던졌다면, 이 책은 한국 교계에 던지는 또 하나의 화두이다. 목회자 없는 평신도 중심의 교회로 시작한 새길교회에서 틈틈이 전했던 메시지 가운데 이 시대에 필요한 주제들을 모아 전면 수정하여 엮은 책으로, 수많은 책들 가운데 처음으로 인세를 받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새롭게 조명되고 해석되어야 할 역사적 예수
사회과학자의 눈에 비친 한국 교회의 고질적인 병은 겉으로 드러난 환부를 치료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문제의 배후에 자리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즉 역사적 예수에 대한 몰이해, 내지 이해 부족에 있다. 그 대표적인 증후를 ‘사도신경’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정녀의 몸에서 탄생했다는 것과 빌라도에 의해 십자가에 처형당했다는 사실 외에는 그분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 일용할 양식의 문제, 빚진 자를 탕감하는 문제, 탐욕과 독선의 유혹에서 벗어나는 문제 등 이 땅의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가지셨던 예수, 밑바닥 인생의 억울한 고통을 함께 나누시고 질병과 가난으로 고통당했던 그 당시 씨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던 나사렛 예수에 대한 외면은 결국 예수의 구체적 삶이 증발되어버린 신조와 신앙고백만 남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양적 팽창 속에서 지속되어온 반지성적 풍토와 기복적 신앙, 경직되고 불투명한 교회운영과 권위주의적 교회 구조, 천박한 이기주의와 개교회주의를 치료할 해법은 다름 아닌 역사적 예수의 회복에 있다고 본다.
신앙, 그 감동의 역설
종교적 선민의식과 종파주의를 초월하신 예수, 그에게서 한국 교회가 제대로 배워야 할 평화적 저항, 익살스러움, 날카로움, 통쾌함, 당혹스러움, 탄성을 발하게 하는 해학적 감동, 그리고 신앙의 역설을 애정 어린 질책과 함께 절제된 언어로 풀어냈다. 구약의 사렙다 과부와 나아만 장군의 이야기, 누가 자기의 어머니요 가족인지를 말한 예수의 이야기, 베드로와 고넬료의 만남 등 성경에 나오는 수많은 예들을 통해 하나님의 팔이 어떻게 ‘밖으로’ 굽으셨는지를 보여주고, 이를 통해 그동안 줄곧 안으로만 굽었던 한국 교회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확인케 한다. 지면서도 이기는 우아한 패배의 원리, 승리의 십자가가 아니라 실패와 자기 부인의 십자가 정신, 자기 비움과 남 채움의 원리 등은 끊임없이 자기 속에서 충동하는 탐욕과 독선의 힘을 비워내기 위해 그리스도인들이 체득해야 할 삶의 방식이자 우리에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촉구하는 우리 시대의 ‘불온한 발언’이기도 하다.
사회를 치료하는 소셜 닥터, 그 지난했던 길
이 책은 한완상 박사가 신앙을 갖게 된 과정, 부모님에 대한 기억, 고등학교 2학년 때 신학자와 의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이야기, 대학생 시절 절친했던 친구의 어이없는 죽음, 학보병으로 입대해 겪은 군대 이야기, 김대중대란음모사건으로 받았던 고문, 망명생활 이야기, 끝내 자식의 복직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아버지 이야기 등 개인적인 라이프스토리를 많이 담고 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36년에 태어나 초등학교 3학년 때 맞은 해방과 곧이어 터진 6.25 전쟁, 가난과 질병의 고통으로 점철된 그 시기를 지나 암울했던 현대사의 격랑을 헤쳐 나오는 동안 그는 어느덧 ‘사회의 질병’을 고치는 의사가 되어 있었다. 한 시대의 구조적 불의와 씨름했던 지난 70여 년 동안 교수, 수인, 부총리, 위원장, 적십자 총재, 대학교 총장 등 다양한 직책을 경험해보았지만, 그 경험을 관통하는 것은 ‘희망의 힘’이었다고 회고한다. 그 삶의 행간들에는 힘의 논리로 작동되는 ‘평화 지키기’보다 나눔과 비움을 통해 세워지는 ‘평화 만들기’를 위해 고군분투했던 삶의 이력이 오롯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