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정보

재미와 감동을 전하는 작은 책방을 마련했습니다.
한 바퀴 찬찬히 둘러보시면 아마도 내일 또 오고 싶으실 거에요.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BEST NEW

새로 만든 먼나라 이웃나라 15. 에스파냐

저자 이원복
브랜드 김영사
발행일 2013.03.18
정가 12,900원
ISBN 978-89-349-6234-2 17910
판형 188X257 mm
면수 262 쪽
도서상태 판매중
종이책
전자책
  • 등록된정보가 없습니다.

유럽에서 가장 뜨거운 심장을 가진 나라,

예술가들이 가장 사랑하는 나라, 에스파냐

 

세계 최고의 축구선수들이 활약하는 프리메라리가! 정열과 낭만의 상징 플라멩고!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남성적 강인함과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투우! 나라 전체를 붉은빛으로 물들이는 달콤한 토마토 축제! 1년 356일이 모두 축제인 나라, 에스파냐! 유럽 대륙에서 가장 화려한 문화와 역사를 가진 나라 에스파냐가 이원복 교수가 선택한 《먼나라 이웃나라》의 최종 목적지다.

1981년, 《소년한국일보》에 첫 연재를 시작한 이래, 지난 33년 동안 전 국민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아왔던 이원복 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가 새로운 여행지 에스파냐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에스파냐는 신대륙에 진출한 최초의 국가이자, 무적함대 아르마나를 앞세워 대영제국보다 무려 200년이나 먼저 유럽 대부분을 지배하면서 ‘해가 지지 않는 대제국’을 건설한 초강대국이었다. 하지만 과도한 영토 확장과 독선적이고 폐쇄적인 문화 정책으로 인해 점차 쇠락의 길을 걸었고, 오랜 독재 시절과 국민들의 이념 분쟁까지 더해져 긴 암흑기를 보내야만 했던 아이러니한 역사를 가진 나라다.

 

이원복 교수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먼나라 이웃나라》의 최종편으로 에스파냐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에스파냐의 역사는 이제 막 다문화 사회, 글로벌 문화에 당면한 우리에게 귀중한 교훈을 던져준다”며, “36년간의 프랑코 독재 시절을 겪고 다시 일어선 에스파냐의 역사와 국민들은 마치 모든 고난을 이겨내고 빛나는 대한민국을 건설한 우리 한국인들과 많은 점이 닮았기에 그들의 역사는 우리에게 더욱 가깝고 진한 공감을 안겨줄 것이다”라고 밝혔다.

 

지중해의 뜨거운 태양과 시에스타가 있는 여유와 낭만의 나라, 문화 ? 예술 ? 역사가 어우러진 열정과 자유의 나라 에스파냐로 이원복 교수와 함께 마지막 여행을 떠나보자.

  • 이원복 (저자)

1946년 대전 출생. 1966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에서 건축학을 수학했다. 1975년 독일 뮌스터 대학의 디자인학부에 유학졸업 때 디플롬 디자이너(Dipl. Designer) 학위 취득과 함께 총장상을 받았으며같은 대학 철학부에서 서양미술사를 전공했다독일 뮌스터 시와 코스펠트 시 초청으로 개인전을 열었고, 1993년 우리나라 만화 문화 정착에 기여한 공로로 제9회 눈솔상을 받았으며, 2009년 세계 최대 규모와 권위를 자랑하는 볼로냐 국제 일러스트전에 한국 일러스트레이터로서는 처음으로 심사위원에 선정되는 명예를 안았다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고(1998~2000), 덕성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총장으로 재직했다.

 

대표작품으로 먼나라 이웃나라》 《와인의 세계세계의 와인》 《세상만사 유럽만사》 《왕초보 주식교실》 《부자국민 일등경제》 《만화로 떠나는 21세기 미래여행》 《신의 나라 인간 나라》 등이 있다어른들도 즐기는 교양 만화라는 장르를 개척해낸 글로벌 시대 문화 통역자로서 그의 작업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1. 들어가면서
에스파냐는 어떤 나라인가

2. 서쪽에서 떠오르는 태양
700년간의 아랍 지배 - 동서양의 만남 에스파냐(기원전~1516)

3. 해 지는 날이 없는 제국(16세기)
카를로스 1세(카를 1세), 펠리페 2세의 에스파냐(1516~1598)

4. 콘키스타도레스(Los conquistadores)
- 신대륙의 정복자들

5. 저물어가는 대제국의 영광
합스부르크 왕가의 몰락(1516~1700)과 부르봉 왕조의 등장(1700~)

6. 나폴레옹의 침략과 독립 전쟁
에스파냐 독립 전쟁과 남미 독립 전쟁

7. 혼돈의 시대
반란, 폭동, 쿠데타, 전쟁(1820~1939)

세계 최초로 신대륙에 진출한 국가

영원히 해가 지지 않는 대제국을 건설한 초강대국

 

1492년, 에스파냐 왕실의 후원을 받은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면서 세계사의 흐름은 급격히 바뀌었다. 그때까지 유럽 대륙에만 국한됐던 유럽인들 시각은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의 본격적인 신대륙 진출 경쟁으로 인해 전 세계로 뻗어나갔다. 에스파냐와 포르투갈의 경쟁적 영토 확장은 정복지 원주민들에 대한 과도한 살육과 약탈로 인한 인종과 문화의 말살로 이어졌지만, 국가 간 문화가 만나고 흡수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등 본격적인 글로벌 시대를 여는 시발점이 되었다.

교황의 중재로 유일한 경쟁국인 포르투갈과의 분쟁을 해결한 에스파냐는 영국과 프랑스 등 주변국들이 복잡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내부로 눈을 돌리는 바람에 별다른 어려움 없이 막대한 영토를 정복해나갔고, 영국보다 200년이나 앞서 ‘영원히 해가 지지 않는 대제국’을 건설하는 등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발돋움하며, 16세기부터 17세기 중반까지 세계 초강대국으로 주변국들을 벌벌 떨게 했다.

하지만 17세기 중반부터 잦은 정복전쟁과 왕위 계승전쟁으로 인해 경제 사정이 급격히 나빠졌고, 주변국들이 본격적으로 식민지 개발에 뛰어들면서 점차 그 중심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결국 네 번의 국가 파산 선고와 오랜 독재 시절이 이어지면서 에스파냐는 대제국의 영광을 뒤로 한 채 유럽의 변방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유럽과 이슬람, 동서양 문명의 교차로를 잇는 다양한 문화의 공존

에스파냐는 유럽의 가장 서쪽, 이베리아반도에 위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 가장 동양적인 정취를 풍기는 나라다. 1492년, 마지막 이슬람 국가였던 그라나다 왕국이 함락되기까지 거의 800년 동안이나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받으면서 유럽과 이슬람, 동서양이 융합된 독특한 형태의 문화를 형성했고, 새로운 수도 코르도바가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로 떠오르면서 무역을 통해 다른 나라의 문화를 흡수, 독창적인 형태로 발전시켜나갔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따른 에스파냐의 역사와 문화는 자연스레 동서양, 유럽과 이슬람이 합쳐진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고, 지금은 전 세계에서 가장 정열적이며, 자유로운 국민들이 사는 유럽에서 가장 화려한 문화를 지닌 나라가 되었다.

 

오랜 독재를 벗어나,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로 발전

1936년부터 이어진 내전으로 인해 국토는 황폐해져갔고, 청빈을 상징하던 가톨릭교회가 전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부가 편중되자, 이를 바로잡기 위해 사회주의 정권인 인민전선이 등장했다. 인민전선의 세력이 날로 성장하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 보수주의 세력을 등에 업은 프랑코가 모로코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 헤밍웨이와 조지 오웰 등 수많은 지식인들이 인민전선에 참여해 프랑코 세력에 맞섰으나, 결국 오랜 내전을 종식시키고, 정권을 잡은 이는 프랑코였다.

에스파냐는 이때부터 프랑코 정권의 독재에 시달려야 했으며, 치열한 민주화 항쟁 끝에 1975년 프랑코가 사망하고 에스파냐 왕정이 복고되면서 진정한 민주국가 대열에 합류할 수 있었다.

《먼나라 이웃나라》 시리즈를 완간을 선언한 머리말에서 이원복 교수는 “우리의 아픈 상처인 한국전쟁과 흡사한 내전을 치렀고, 36년간의 프랑코 독재를 극복하고 일어선 에스파냐의 역사와 국민들은 마치 모든 고난을 이겨내고 빛나는 대한민국을 건설한 우리 한국인들과 많은 점이 닮았”기 때문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국민들에게 진한 공감을 안겨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