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정보

재미와 감동을 전하는 작은 책방을 마련했습니다.
한 바퀴 찬찬히 둘러보시면 아마도 내일 또 오고 싶으실 거에요.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
NEW

우리가 직면한 이 질병에 관한 최신 과학

치매

저자 캐슬린 테일러
역자 강병철
브랜드 김영사
발행일 2023.05.16
정가 15,800원
ISBN 978-89-349-6336-3 04400
판형 142X205 mm
면수 224 쪽
도서상태 판매중

치매에 관하여 우리는 어디까지 알고 있는가?

 

국내 치매 인구 100만 명 시대,

유형부터 진단과 치료예방돌봄앞으로의 돌파구까지

치매에 관해 우리가 알아야 할 핵심 지식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흔한 사망원인이자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치매급격한 고령화와 더불어 유병 인구는 빠른 속도로 늘어나지만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는 이 질환에 관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사실을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으로 소개한다치매의 정의역사부터 유형발생 기전과 증상진단과 치료주목받고 있는 연구사회적 비용의 문제까지의료/돌봄/복지 분야 종사자와 치매 환자의 보호자와 가족이 알아야 할 핵심적인 정보를 한 권에 담았다.

  • 캐슬린 테일러 (저자)

옥스퍼드 대학교의 생리, 해부, 유전학과 방문 연구원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생리학과 철학을 공부했고스털링 대학교에서 신경약리학 연구로 심리학 석사학위를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계산신경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박사후 과정에서 신경면역학과 인지신경과학 연구를 했다의식에서 잔인성까지난독증에서 치매까지뇌 연구와 심리학의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글을 쓰고 있다가디언〉 〈타임스하이어에듀케이션서플먼트〉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했고심리 조작에 관한 책인 브레인 워싱 (Brainwashing)을 비롯하여 잔인함에 관하여(Cruelty)》 《뇌 우위(The Brain Supremacy)》 《손상되기 쉬운 뇌(The Fragile Brain)》 등을 썼다.

 

  • 강병철 (역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되었다현재 캐나다 밴쿠버에서 번역가이자 출판인으로 살고 있으며도서출판 꿈꿀자유?서울의학서적의 대표를 맡고 있다툭하면 아픈 아이흔들리지 않고 키우기》 《이토록 불편한 바이러스》 《성소수자(공저등을 썼고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한국출판문화상 번역 부문 수상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롯데출판문화대상 번역 부문 수상)를 비롯해 암 치료의 혁신면역항암제가 온다》 《치명적 동반자미생물》 《면역》 《뉴로트라이브》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1장 치매라는 문제

2장 치매의 원인은 무엇인가?

3장 아밀로이드를 넘어서

4장 위험인자

5장 진단 및 치료

6장 치매의 미래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유용한 단체 및 웹사이트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치매에 관하여 우리는 어디까지 알고 있는가?

 

국내 치매 인구 100만 명 시대,

유형부터 진단과 치료예방돌봄앞으로의 돌파구까지

치매에 관해 우리가 알아야 할 핵심 지식

 

수명이 길어질수록 치매와 같은 뇌의 질병으로 고통받는 노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인생의 종점에 이를 때까지 꾸준히 진행되는 증상들은 숱한 어려움을 낳고많은 환자들과 가족그들을 돌보는 이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중앙치매센터의 추산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치매 인구는 90만 명을 넘었고 65세 이상 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10.51퍼센트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내년에는 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인간으로서의 존엄마저 손상시키는 것 같은 증상들 탓에, 2014년 중앙치매센터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우리나라의 60대는 압도적인 비율(43%)로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으로 치매를 꼽았다치매는 전 세계를 통틀어 다섯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기도 하다때문에 이를 이해하고예방하고치료하는 것은 국제적으로 긴급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특히 치매국가책임제와 건강보험 보장 범위를 둘러싼 논쟁환자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강화할 수 있는 치매’ 용어를 인지증’ ‘뇌인지저하증’ ‘인지이상증’ ‘신경인지장애’ 등으로 바꾸자는 논의(관련 법안도 여럿 제출된 상태다)도 이어지는 등치매는 우리 사회의 뜨거운 이슈이기도 하다치매에 관한 기초적인 사실들을 알아야 할 필요는 절실해지고 있다.

 

치매란 무엇인가치매 연구는 어디까지 왔는가?

신경과학 분야에서의 최근 연구는 치매와 싸우는 환자간병인의료인들을 도울 방법을 찾는 일에 점점 가까이 다가가고는 있으나여전히 효과적인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는다왜 이리도 발전이 느린 걸까어떻게 해야 이 질병에 걸릴 위험을 낮출 수 있을까이 책에서 영국의 신경과학자이자 저술가인 캐슬린 테일러 박사는 독일의 알로이스 알츠하이머가 기록한 환자 아우구스테 D.’의 증례 기록부터 오늘날의 연구까지치매와 뇌의 노화에 관한 과학 전반을 소개한다그림과 도표를 곁들여 연구결과를 명확히 설명하면서 그동안 치매 연구의 방향을 결정해온 개념들그리고 새로운 방향에서 경쟁하는 아이디어를 모두 제시한다치매 발병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인자들과 치매에 굴복당할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도 보여준다현재의 치료법과 미래에 활용 가능한 방법들약물과 그 밖의 치료를 객관적으로 소개하고치매 환자를 위해 어떤 도움의 손길이 주어질 수 있는지치매를 안고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도 설명한다이 질병이 야기하는 인간적 슬픔도 그려내고치매가 사회에 지우는 부담 또한 빼놓지 않고 서술한다신약 홍보무분별한 낙관론은 없다기전이 복잡하고 치료가 어려운 질병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 그려내는 희망현실적이고 신중한 접근이 책에 대한 신뢰를 높여준다.

 

아밀로이드 가설과 그 너머

책은 다양한 치매 유형(혈관성 치매전측두엽 치매루이소체 치매 등)을 소개하되특히 알츠하이머병을 집중적으로 다룬다현대의 치매 연구를 지배한 아밀로이드 가설과 그 밖의 접근법을 설명하는 2장과 3장은 다소 어렵지만 이 책에서 단연 돋보이는 부분으로다른 책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수준 높은 설명을 제공한다아밀로이드 가설이 무엇인지를 전달하는 2장에서는뇌에서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이것으로부터 어떻게 저중합체와 아밀로이드판이 만들어지고 이들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등을 설명하고그 밖의 다양한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3장에서는 아밀로이드 가설 외의 유망한 접근법도 설명하는데여기에는 최신 의학이라 할 신경면역학까지 포함된다뇌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발견뇌의 면역계에서 미세아교세포의 역할 등에 관한 놀라운 사실들이 분야 연구에서 기대되는 돌파구 등도 보여준다.

 

최신 지식을 포괄적으로 담은 치매 개론서

중요한 첨단 과학 주제에 대한 기본적이면서도 깊은 핵심 지식을 표방하고 김영사에서 출간하고 있는 <딥앤베이직(Deep&Basic)> 시리즈의 8번째 책으로 출간된 <치매>는 영국 옥스퍼드대학출판부(OUP)의 대표적인 시리즈인 VSI(Very Short Introduction) 시리즈의 <Dementia>(2020)를 번역한 것으로치매에 관한 최신 연구를 아우르며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사실을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으로 소개한다치매 환자와 가족의 에세이나 치매 예방법을 담은 건강서에 편중된 기존 출판 시장에서치매의 과학을 콤팩트한 분량에 정리한 이 책이 치매에 관한 최신 지식을 구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개론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